본문 바로가기

도움되는 정보

(60)
위대한 조각가 '로댕' (오귀스트 로댕) 오귀스트 로댕 Auguste Rodin (1840~1917) 프랑스의 조각가이며 근대 조각의 시조로 일컬어지는 인물입니다. 그가 추구한 웅대한 예술성과 기량은 조각에 생명과 감정을 불어넣어 예술의 자율성을 부여했습니다. 많은 학자들은 오귀스트 로댕(1840~1917)을 사실주의적으로 인간 형상을 만든 마지막 위대한 조각가라 평가합니다.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잘 알려진 로댕은 미켈란젤로의 많은 작품을 모방하기도 했습니다. 로댕은 파리 프티 에콜 학교에서 1854년부터 1857년까지 드로잉을 공부했습니다. 파리 미술원에 들어가지 못하자 공예가, 도자기 화가, 보석세공인으로 일하면서 생계를 꾸렸습니다. 1864년에는 알베르 에르네스트 카리에 벨뢰즈의 작업실에 들어갔습니다. 같은 해 자연주..
'전지' 그리고 '마찰' 전지(=배터리) : 양극(+) 음극(-) 원시 형태의 전지는 일찍이 기원전 250년 전에 바그다드에서 사용되었으며, 최초의 현대식 전지는 1800년 알렉산드로 볼타가 발명했습니다. '볼트'라는 말은 그의 이름에서 나온 것입니다. 참고로 전 세계 배터리 산업의 연간 매출은 480억 달러에 달한다고 합니다. 전지(=배터리)는 서로 반응해서 전자라는 음의 전하를 띤 아주 작은 입자를 만들어 내는 전기 화학물질의 저장소를 말합니다.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전자가 흐르면 우리가 사용하는 램프나 텔레비전, 자동차, 카메라 , 인공위성, 휴대전화, 컴퓨터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류가 생깁니다. 전자는 회로라 불리는 길을 통해 흐르는데 예를 들어 각 가정에 있는 전선이 회로입니다. 전자는 대부분 음극, 양극, 전기화학..
'목성'의 발견 이오의 화산 분출은 그 구성 입자들을 목성의 주변 공간으로까지 직접 방출시킬 정도로 매우 높이 솟아오른다고 합니다. 아마도 이 입자들이 이오 주변에서 목성을 둘러싸고 있는 도넛 모양의 튜브를 형성하는 장본인인 듯합니다. 이 입자들은 원자 알갱이들로서 목성을 향해 천천히 나선 운동을 하다가 안쪽 궤도에 있는 아말테아 위성과 만나면, 모종의 화학반응을 통하여 아말테아의 표면을 붉게 물들이는 것 같습니다. 또한 이오에서 분출된 물질이 여러 차례 충돌과 응결의 과정을 겪으면서 격국 목성의 고리를 만드는 데 한몫을 하게 되는 듯합니다. 인류가 목성에 거주한다는 것은 사실상 거의 불가능해 보이지만, 먼 미래에 이룩될 과학 기술의 진전을 생각한다면, 가스 구름 속을 떠다니는 거대한 풍선 속의 도시를 상상해 볼 수도 ..
전파 천문대 오늘날의 연구자들은 고대 문명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찾고 있습니다. 고대 이집트 문명만큼이나 진귀하고 이국적인 문명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 문명은 시간뿐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깊숙이 감춰져 있습니다. 외계 문명으로부터 온 전파 신호는 어떻게 해독될 수 있을까요? 외계의 지적 생물은 그 나름의 미적 기준, 복잡성, 논리성을 두루 갖추고 있겠지만, 우리에게는 전적으로 이질적이지 않을까요? 물론 외계인들도 우리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에는 되도록이면 알아듣기 쉽게 만들어 보낼 것 같습니다. 우리는 성간 로제타석이 있다고 믿습니다. 아무리 다른 문명권들이라고 해도 그들과 우리 사이에는 공통의 언어가 반드시 있을 것입니다. 그 공통의 언어는 바로 과학과 수학입니다. 자연의 법칙은 우주 어디를 가든 동일하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