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움되는 정보/about 과학

유추와 은유를 기반으로 하는 과학 예술

 

유추는 공학이나 과학에서와 마찬가지로 디자인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과학자, 화가, 공학자, 기능공들이 유추를 하는 방법과 목적은 같습니다. 물리학자이고 시인이자 인문학 자이기도 한 제이콥 브로노프스키는 유추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유추라는 수단에 의해 과학자나 화가는 '자연의 두 모습'인 두 개의 현상을 병치시킨다. 그리고 그것들을 하나로 녹여 붙인다. 이것은 창조의 행위이고 거기에서 독창적인 사고가 탄생한다. 독창적 과학과 독창적 예술은 그런 점에서 모두 같다. "

여러 예술가 특히 시인은 이 점을 분명히 이해하고 있습니다.

  • 윌리엄 위즈워스: "닮지 않은 것에서 닮은 것을 찾아내는 기쁨"에 대해 쓰고 있다."
  • 로버트 프로스트: "최근 몇 년 간 나는 모든 사고를 은유로 하는 일에 많은 진전이 있기를 바랐다. 시를 가르치는 것은 은유를 가르치는 것이다." 

과학자와 마찬가지로 시인은 객관적 세계가 아닌 주관적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이해가 넓어지기를 원합니다. 그러면서 지적, 정서적 연상을 동원해서 '알려진 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 사이의 유사성을 찾으려 합니다. 이 점에서 은유는 단순한 유추와 구별됩니다. 

강력한 은유는 대부분의 문학작품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삶을 미궁이나 미로에 비유하는 문학적 비유는 흔합니다. 그 미궁 속에 우리가 갇혀 있고, 최대한의 집중력과 지혜를 동원해야만 성공적으로 헤쳐 나갈 수 있다는 비유 말입니다. 이 은유는 고대 그리스의 테세우스와 미노타우르스 신화에서부터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소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문학작품에 등장합니다. 한편 작가들은 삶을 여해에 비유하기도 하고 험하고 가파른 산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보카치오는 <데카메론>에서 "그 너머에 평탄하고 쾌적한 평야가 있다."라고 묘사한 바 있습니다. 

은유는 20세기 문학작품에서도 의미를 갖습니다. 마크 트웨인의 <허클베리 핀>과 J.R.R. 톨킨의 <반지의 제왕> 등에서 그 자취를 찾을 수 있는데, 스티븐 스펜더는 상당히 진지한 어투로 "은유는 삶을 관통하는 시의 여행길에 있는 역들"이라고 쓰고 있습니다. 프로스트는 시 <가지 않은 길>에서 은유를 재확인하고 있습니다. 

"두 갈래 길이 숲에 나 있었고 그리고 나,
나는 사람들이 덜 다닌 길을 택했노라"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근본적인 은유는 결코 진부 해지는 법이 없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매번 새롭고 독특한 연상과 어울리면서 공명합니다..

유추는 글 자체는 물론이고 문학적인 시도까지 만들어냅니다. 시인들은 다른 사람들의 마음이 자신과 같다는 가정하에 시각적, 청각적, 후각적, 촉각적 이미지를 다듬고, 그것을 통해서 독자들의 가슴속에 자신이 경험한 것과 가까운 정서적 느낌을 불러일으키려 애를 씁니다. 그들이 시를 쓰는 목적이 그거입니다. 프랑스 시인 폴 발레리의 말을 빌자면 "다른 누군가의 내부에 자신과 유사한 상태의 존재를 세우는 것"입니다. 또한 시인에게 다른 누군가와 공유하기를 원하는 통찰이 찾아오는 때는 브로노프스키가 말하는 '숨겨진 닮음', 즉 유사성이 폭발하는 순간입니다. 

가장 뛰어난 미술작품들도 종종 유추와 은유를 기반으로 하며, 그 심오함은 문학에 뒤지지 않습니다. 조각가 노구치 이사무는 작품을 통해 빛의 다양한 의미를 표현하는 예술가입니다. 그는 자신의 빛 조각 작업이 일본 등 제작에 매료된 순간 시작되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나는 조각가이지만 일본 등의 제작법에 크게 흥미를 느꼈습니다. 구부러진 뼈대와 대나무, 종이, 그 유연함과 단순성은 새로운 조각 형태의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반투명, 접이식 '빛의 조각' 이 그 예입니다. 

노구치의 작업은 두 방향으로 동시에 진행되었는데, 이를 통해 그는 자신의 유추를 진전시켰습니다. 그의 노력은 성공적인 결실을 맺었습니다. 현재 그가 만든 아카리 작품 몇 점은 뉴욕 현대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그와 동시에 그는 유추적인 작업도 함께 병행했습니다. 아카리의 구조에 기반을 둔 조각 형태를 발전시켜 조각 작품의 내부에 조명을 설치하였습니다. 그러나 조명의 목적은 기능적인 것이 아닌 형태와 빛에 대한 예술적 모색에 있었습니다. 이렇게 만든 작품들은 최초의 빛 조각품이라는 영예를 얻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