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움되는 정보/알아두면좋아요.

똑똑해지는 기본 교양, 간단한 음악용어 4종류

교향곡, 관현악 등 이러한 음악 용어들은 우리가 평생을 살면서 수없이 듣게 되는 단어들입니다. 하지만 이 음악 용어들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요? (물론, 음악 전공자들은 제외하고 말이죠.) 저를 포함하여 보통 사람들은 대부분 그저 느낌으로 알고 있을 뿐입니다. 아.. 그... 뭐 예술의 전당에서 오케스트라 악기 연주하는 그런 거...?(머쓱..) 앞으로는 당당하게 잘난 체를  해보자고요. :)  

1. 관현악(orchestra 오케스트라)

여러 가지 악기로 이루어진 합주체입니다. (아주 간단하죠? :)

2. 교향곡(symphony 심포니) 이란?

1번에서 언급한 관현악으로 연주되는 다악장 형식의 악곡으로 대규모의 기악곡이라고 합니다. 기악곡 형식 중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 교향곡은 관현악의 합주를 위해 작곡된 소나타 형식인데, 피아노 소나타는 많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피아노와 비교해보면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피아노 소나타는 보통 3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교향곡은 관현악으로 연주되는 관현악을 위한 소나타로서 기본적으로 4악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1악장  빠른 템포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1악장 바로 앞 도입부를 장중한 느낌으로 만든 작품들도 많다고 합니다.

제2악장  쉽게 이야기하면 가요 형식 또는 가곡 형식이며, 정확한 용어는 리트 형식입니다.

제3악장  미뉴에트 또는 스케르초(하단 3번 글 참조)

제4악장  론도 또는 매우 빠른 악장

*교향곡은 하이든으로부터 비롯되어 모차르트, 베토벤을 거쳐 확립되었습니다. 

여기서 잠깐! 교향악단(symphony orchestra)의 악기 배치 그림을 한 번쯤은 자세히 들여다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보통 100여 명의 연주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교향악단의 악기배치도

현악기군(1바이올린·2바이올린·비올라·첼로·더블베이스), 목관악기군(피콜로·플루트·오보에·잉글리시 호른·클라리넷·바순 ), 금관악기군(호른·트럼펫·트롬본 ), 타악기군(팀파니·큰북·작은북·트라이앵글·탬버린·심벌즈·실로폰 )

3. 스케르초 (scherzo) 

해학곡. 스케르초는 ‘해학, 희롱’을 뜻하는 말인데, 음악에서는 곡의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스케르초 형식은 템포가 빠른 4분의 3박자, 격렬한 리듬, 그리고 기분의 급격한 변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케르초 형식을 가장 처음으로 도입한 음악가는 하이든이며, 베토벤도 자주 사용하여 작곡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후 에는 브람스의 작품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케르초 형식은 피아노 곡보다는 교향곡과 현악 4 중주곡의 제3악장에 주로 쓰입니다. (복습: 교향곡은 기본 4악장으로 이루어짐.) 

4. 즉흥곡(impromptu) 

작곡자가 머릿속에 떠오른 악상에 즉흥적인 요소를 넣어 자유로운 형식으로 만든 것으로 슈베르트, 쇼팽의 작품이 가장 유명합니다. [슈베르트의 op.90,142 쇼팽의 op.26,36,51,66 등이 있습니다.] 꼭 한번 들어보시길 추천합니다.